조원주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 2025 NANO KOREA Best Poster Award 수상- PZTO 기반 pH 감지용 ISFET 센서 기술로 차세대 초미세 바이오센서 가능성 제시 -(왼쪽부터) 이승진 석사과정, 마동균 석사과정 졸업, 조원주 교수. 모교 조원주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이 지난 7월2일(수)부터 4일(금)까지 진행된 ‘NANO KOREA 2025 (The 23rd internat...
광운대, ‘HUSS 글로벌공생 2025 우즈베키스탄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성료- 국내외 대학생 42명, 타슈켄트 현지서 AI 활용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 수행 -- 디자인씽킹 기반 글로벌 협업 교육 모델 제시 -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를 포함한 국내 4개 대학의 학생들이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현지 재학생들과 함께 사회문제 해결형 디자인씽킹 프로젝트를 공동 수행하며, 글로벌 협력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광운대, 방산 AI 스타트업 ‘퀀텀에어로’와 국방 AI 인재육성 및 기술 실용화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 체결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는 ㈜퀀텀에어로(이사회 의장 전동근)와 AI 자율비행 드론 기술의 고도화 및 국방 AI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내외 국방 AI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고, 무인기 및 AI 기반 방위산업 기술의 국산화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
광운대, RISE 사업 ‘서울 평생교육 고도화’ 설명회 성료... ‘평생교육 비전 공감 및 협력 강화’ 광운대학교 참빛인재대학(학장 김성길)은 지난 2025년 6월 26일(수) 80주년 기념관 201호에서 지자체(노원구청, 양천구청) 및 13개 협력기관 관계자, 성인학습성공센터(센터장 조수영) 관계자 등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RISE 서울 평생교육 고도화 사업 설명 및 상시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광운대 '중소기업 AI 미디어솔루션과' 신설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는 중소기업 재직자 대상의 실무형 AI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중소기업 AI 미디어솔루션학과’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과 신설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중소기업 계약학과 설치·운영사업’에 광운대학교가 최종 선정되면서 추진됐다. 이에 따라 광운대는 2026학년도부터 일반대학원 내에 해당 석사과정을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전자통신공학과 대학원생, ‘2025 IDEC Chip Design Contest’ Best Poster Award 수상 모교 전자통신공학과 소속 대학원생들이 ‘2025 IDEC Congress Chip Design Contest’에서 Best Poster Award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의 주인공은 전자통신공학과 한찬흠 박사과정생(사진)과 이기수, 이준철 석사과정생으로, 이들...
박재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땀 성분 분석 및 모니터링 가능한 멀티센서 패치 개발- MXene@Pt, 나노복합체와 하이브리드 나노다공성 탄소(HNPC)를 활용해 고감도·넓은 범위 땀 멀티센서 패치 기술 개발 -- 감도와 선택성이 뛰어나서 공공 헬스케어, 운동·스포츠 증진, 맞춤형 질병 관리 등 다양한 실생활 활용 기대 -- 국제 저명 학술지, 엘시비어 출판의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논문(IF: 13.3) 게재 ...
심준섭 교수(전자융합공학과) 연구팀,3차원 그래핀 기반 장수명 고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 기술 개발- Journal of Power Sources (IF 8.1, JCR Q1) 논문 게재… 차세대 배터리 핵심 소재 기술 주목 - 모교 심준섭 교수(전자융합공학과) 연구팀이 고용량과 장수명 특성을 동시에 갖춘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 소재를 개발하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
이승환 학생(경영학부), ‘2025 창업발명공모전’ 동상 수상 - BI 기반 의사결정 분석 아이디어로 실무형 창의성 입증 -(좌측부터) 경영학부 이승환 학생과 박아름 교수 모교 경영학부 이승환 학생(지도교수 박아름)이 지난 2025년 6월 27일에 진행된 (사)국제문화기술진흥원 주최의 2025 STARTUP INVENTION CONTEST에서 동상을 수상하며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인정받았다.  ...
“중국 통(通)의 거장 ‘Arrange Park’, 왜 지금도 ‘중국’을 말하는가?” - CJ대한통운 前 대표이사 박근태 석좌교수가 말하는 ‘미국의 시대에도 우리가 중국을 읽어야 하는 이유’ - 지난 6월 17일(화) 광운대 홍보팀은 박근태 석좌교수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요즘은 다들 미국을 말하지...
장민 교수(환경공학과) 연구팀, 과황산염과 유전체 장벽 플라즈마를 활용한 폐활성탄 미세공극 회복 기술 개발-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JCR IF 13.2, JCR Rank: 3.0%) 과학전문지 게재 – &nb...
구상모 교수(전자재료공학과),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 수상 – 전기전자재료 분야의 학문·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 인정 받아 –모교 구상모 교수(전자재료공학과)가 ‘2025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을 수상했다.구상모 교수(전자재료공학과),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 수상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은 (사)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가 수여하...
“피젯 스피너에서 착안!”박재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약한 바람도 전기로 바꾸는 초소형 발전기 개발- 피젯 스피너 원리를 적용한 고출력 미풍 발전기 및 자가충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실생활 적용가능한 자가충전 실내외 환경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활용 기대 -- 국제 저명 학술지, 엘시버 출판의 에너지 컨버전 앤드 매니지먼트 논문(IF: 10.7) 게재 - 모교 전자공학과 박재영 교수 ...
광운학원, 광운대학교 제13대 총장에 윤도영 교수 선임 학교법인 광운학원(이사장 조선영)은 2025년 6월 25일(수) 이사회를 개최하고 광운대학교 제13대 총장으로 윤도영 교수(사진, 62)를 선임했다. 윤 신임 총장은 1963년생으로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부터 광운대 화학공학...
‘2025 글로벌 공생 생성형 AI 영어번역 경시대회’ 성료- 글로벌 소통 역량과 의미 전달의 깊이를 확장하는 실천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 - 광운대학교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단(단장 이혜영 교수, Humanities-Utmost-Sharing System, 이하 HUSS 사업단)은 지속 가능한 글로벌 공생과 성장을 위한 ‘2025년 글로벌 공생 생성형 AI 영어번역 경시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시상식은...
광운대, 2025년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사업으로 정부의 대표적인 대학인력 양성 프로그램 - - 반도체시스템공학부 중심의 AI 시스템반도체 특화 교육 본격화… 반도체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도약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가 글로벌 반도체 인재 양성의 중심 대학으로 본격적인 도약에 나선다. 광운대는 지난 2025년 6월 12일(목)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