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소식) 이기원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 차세대 스마트팜을 위한 E-plant 기술 논문 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총동문회사무국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7-28 15:06본문
이기원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 가천대 김대건 교수 및
아주대 박성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차세대 스마트팜을 위한E-plant 기술 논문 출간
- 스마트 농업의 미래를 이끄는 전자식 식물(e-plant) 기술의 설계 원리, 핵심 구성 요소, 응용 기술 종합 정리 -
- 재료·소자·시스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차세대 스마트팜 기술 방향 제시 -
- 재료과학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9.0, JCR 상위 4.9%) 게재-
모교 이기원 교수(화학공학과)와 석사과정 박형민(공동 제1저자) 학생은 김대건 교수(가천대), 박성준 교수(아주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스마트 농업 구현을 위한 전자식 식물 기술의 최근 발전에 관한 리뷰 논문을 출간하였다.
전통적인 농업 방식은 급변하는 기후, 산업화, 인구 증가 문제에 대응하기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밀 농업과 지능형 관리 기술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센서, 전자회로, 전력공급,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통합된 ‘전자식 식물 시스템(e-plant system)’의 개념과 기술적 진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식 식물 기술의 핵심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해당 기술의 AI, 머신러닝, 로보틱스, IoT 등과의 융합 가능성을 통해 향후 자동화된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기술적 비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전원 자립형 기술과 데이터 기반 작물 예측 모델의 적용은 향후 자동화된 스마트팜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방향으로 언급되었다.

3세대 스마트 농업 기술을 위한 전자식 식물 시스템
이기원 교수는 “본 연구는 전자식 식물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통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구축에 핵심적으로 기여 할 수 있는 이론적·기술적 기반을 제공했다”라며 “연구실 수준을 넘어 실용화 단계로의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해당 논문은 ‘Toward the 3rd Generation of Smart Farming: Materials, Devices, and Systems for E-Plant Technologies’ 라는 제목으로,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 저널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9.0, JCR 상위 4.9%)에 2025년 7월 21일자로 게재되었다.
https://doi.org/10.1002/adfm.202512264
출처 : 광운대학교 최신연구성과 (kw.ac.kr)
- 이전글장민 교수(환경공학과) 연구팀, 3전자 산소환원경로 광촉매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수처리 기술 개발 25.07.29
- 다음글박재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입는 재활 센서 개발 25.07.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